Bitcoin / TetherUS

다음 변동성 기간 : 12월 3일경

869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snapshot
3 (92026.52) ~ 3.14 (93570.28) 구간에서 지지 받고 3.618 (98841.11) 부근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11월 20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때 3 (92026.52) ~ 3.14 (93570.28)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현재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하락하게 되었을 때 3 (92026.52)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때,
1차 : 90586.92
2차 : 2.618 (87814.27) ~ 1.618 (89050.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1W 차트)
snapshot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지지 확인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3.618 (98841.11) 부근으로 상승하더라도 하락하여 지지 확인 작업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때, 지지 확인 구간은 원으로 표시된 구간입니다.

이 지지 확인 작업은 100K 이상 상승하기 위한 작업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snapshot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snapshot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snapshot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Note
시장이 애매할 때는 추가 매수를 진행하는 것 보다 손절 지점을 지키고 다시 매수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되면, 좀 번거로움이 있지만, 큰 손실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전체적인 면에서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매수한 다음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본전이 되도록 손절 지점을 지정해 두고 할 일을 하시면 됩니다.

그러다가 매도되었다면 다시 매수 시기를 찾아 매수하면 됩니다.

상승세가 진행 중일 때는 1D 차트의 캔들이 하락 캔들일 때 매수하면 좀 더 수월하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하락 캔들일 때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아무때나 매수하게 되면, 오히려 큰 손실을 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Disclaimer

The information and publications are not meant to be, and do not constitute, financial, investment, trading, or other types of advice or recommendations supplied or endorsed by TradingView. Read more in the Terms of Use.